카테고리 없음

현 시점 진단 — 성장과 금리의 싸움

바그다드재벌 2021. 2. 21. 10:43

1. 경제지표와 확진자 수가 꾸준히 좋아지고 있다

1월 리테일 판매는 5.3%가 늘었다
12월말에 나온 9000억불 부양책의 효과인것 같다

10년물 금리는 1.34%로 팬데믹 전의 1.6%을 거의 회복중이다. 이건 차기 부양책 외에도 경제회복을 선행하는 모습이라고 보면된다.

1분기 경제성장율은 6-7.5%로 예상된다.
2, 3분기는 10%대로 예상된다.
이는 연율 수치로 4로 나눠보는게 정확하다

저번주는 테크와 성장주에서 돈이 빠져나와 경기민감주, 전통주로 흘러가는 모습이다.

내 포트 내에서는 애플과 마소가 많이 빠지고 RSP와 VOO가 선방을 했다.
작년부터 RSP를 많이 담았던게 드디어 빛을 보는 듯하다.
금리가 오르면 금융주도 오른다.
그래서 저번주에 BAC를 좀 담았다.

올해 안에 유의미한 조정은 당연히 올것이다. 헌데 골짜기의 깊이에 대해선 아무도 알 수가 없다. 나는 나스닥이나 SP지수가 전고점 대비 5-10%정도 빠지면 무조건 더 담는다.

후크 선장 자신은 나스닥이 전고점 대비 8%가 빠지면 포트의 8%만큼 추매를 한다고 한다. 빠진만큼 더한다는 건데....나쁘지 않은 방식이다.



2. 사경인식 주식 가격 구하기



사경인식으로 애플 주가를 계산해보았다.
지난 4분기의 ROE가 무려 90%나 된다. 자기 자본 대비 이익이 9할이나 된다는 것이다.
헌데 애플은 자사주매입에 돈을 엄청 쓴다.
엄청난 소각으로 주식 수가 줄고 반면 주당 이익은 늘어난다.
또 자기자본을 줄이고 자기자본대비 이익율을 높여 적정 주가를 높인다.

문제는 금리이다.
주가를 구하는데는 할인율이라는게 쓰인다. 이게 뭐냐 하면 내년 애플의 적정 주가를 100으로 보면 현재는 97을 주고 산다는 것이다. 미래의 가격에 대해 현재 할인을 받고 산다는 것이다.
이 할인율은 금리가 올라가면 덩달아 올라간다.
작년 금리가 역대급으로 낮았을때는 이 할인율도 역대급으로 낮았다. 이 할인율은 주가를 구할때 ‘분모’로 들어간다.
금리가 스멀스멀 오르는 것은 공식의 분모값을 올리고 적정주가를 떨어뜨리게 된다.
그래서 금리 상승은 증시에 안 좋다는 것이다.

애플의 할인율은 작년에 2.8%를 적용했다. 당시 10년금리와 회사채 이자율을 반영한 것이다.
지금은 같은 조건을 반영하여 3.3% 정도로 매긴다.
그렇게 나온 적정가가 무려 168불이나 된다. 이는 자사주 매입으로 5% 소각을 가정했을 때이다.

할인율이 오르는데도 적정가가 오르는 이유는 뭘까?

매출, 영업이익이 미친듯이 성장해서이다.

작년 아이폰 12와 서비스 부문의 이익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이 나왔다.



3. 앞의 예시를 보면 알듯이,
이제는 금리와 성장의 싸움이다.
점진적으로 오르는 금리는 주식의 매력도를 떨어뜨린다. 그것을 기업 이익의 성장이 얼마나 상쇄할 수 있느냐가 추가 상승의 최대 관건이라고 본다.

일례로 2019년 파월의장이 금리 상승을 단행하였음에도 기업의 이익 증대가 이를 상쇄해버렸다. 엄청난 한해였다. 2021년도 그런 해가 되지 말란 법은 없다.



4. 한가지 걱정되는게 있긴 하다. 바로 변종 바이러스이다. 영국과 남아공 변이는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의 변이이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인체내 새포 침입을 담당하는 놈인데, 현재 나온 백신은 이들을 목표로 한다.

헌데 백신 목표물에 변이가 나오니 백신이 무용지물이 될 수 밖에. 남아공 변이에 대한 모더나 백신의 효능은 15%로 예상된다. 현 시점에서 제일 걱정되는 부분이다.

미국은 7월쯤에 집단 면역을 달성하리라 본다. 헌데 변이바이러스가 퍼져 백신의 효능이 떨어지면 추가 사망자는 20만명이 더 발생하고 경제 재개방에 큰 타격을 줄 것이다.




5. 재개방에 타격이 오면 기업 이익도 줄어들 수 밖에 없다. 2021년 전체장의 상승이 저해받게된다.

여러분께서 바이러스 변이 확산과 백신 접종을 면밀히 관찰해야할 이유이다.


추신. 바재 공식으로 투자한 경우 수익률


나스닥은 연초대비 7% 상승
VOO는 5.77% 상승

37:63 공식 6.22% 상승
63:37 공식 6.54% 상승. (나쁘지 않다)

나스닥 VOO 애플 아마존 1:1:1:1
애플 0.36%
아마존 2% 상승

1:1:1:1 공식
3.78% 상승

결론 - 개별 주식이 섞이면 지수보다 변동성이 커진다. 좋을 수도 안 좋을 수도있다.
지수를 따라가는건 언제나 괜찮은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