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붐플레이션 vs 스태그플레이션

바그다드재벌 2022. 8. 13. 04:37


저는 어릴적부터 매크로 경제에 대해 주워듣는 말들이 많았습니다. 아버지께서 경제학 박사이시다보니 식탁에서 이런저런 얘기를 많이 해주셨습니다. 사실 흘러듣는 얘기가 무척많았고 몹시 지루했습니다.

허나 시간이 지나고보니 예전에 들었던 얘기들이 이제서야 이해가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이 단적이 예입니다.

물가는 대체로 경기가 침체되면 수요가 줄어들어 알아서 떨어지기 마련입니다.

허나 대외적인 원인이나 구조적이 문제로
경기는 침체가 되는데 물가는 좀처럼 내려오지 않는 경우에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합니다. 70년대 고유가 시대가 예입니다.

지금 상황을 두고 스태그플레이션이 도래했다고 보는 이들이 있습니다. 미국의 생산성이 빠르게 떨어지고 있다는 데이터가 나왔습니다. 임금은 오르는데 기업의 매출은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게다가 체감 인플레이션은 10프로가 넘습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이 맞습니다.

미국의 실질 GDP도 2분기 연속 감소하여 기술적으론 침체에 들어섰습니다.





허나
미국의 명목 GDP(인플레이션을 감안하지 않는 수치)는 여전히 높은 편입니다. 2분기 명목 경제성장률은 7%대.

완전 고용에 명목 GDP 상승을 보면
미국은 높은 인플레이션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확장 국면입니다. 이걸 보고 붐플레이션 (높은 물가에도 경기확장)이라 말할 수도 있습니다.

왜그럴까요? 물가는 오르지만 가계 소비는 좀처럼 저해되지 않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 유가 하락으로 인해
지갑의 여유가 생긴 미 국민들이
서비스업에 돈을 더 쓰면서 경기 확장을 돕고 있습니다.

즉 미국민들은
유가와는 상관없이 쓸 만큼은 다 쓴다는 겁니다.

그만큼 미국인들의 소비 심리는 강합니다.

이게 붐플레이션 (높은 물가에도 경기 확장)이 생기는 이유일 겁니다.



정리를 하자면
인플레이션, 임금 상승 속도, 실질 성장율은 보면 스태그플레이션이 맞고

명목 성장률과 신규 일자리 수 증가를 보자면
붐 플레이션이 맞습니다.

이렇게 설명을 듣자니 당연히 떠오르는 질문이 있습니다.


그래서 어쩌란 말인가요?

명목 경제성장률은 높은데
인플레이션을 감안한 실질 성장률은 오히려 마이너스입니다.

두 수치의 커다란 괴리는 역대급 인플레이션 때문입니다.

기업들은 명목상 성장을 하고 경제는 확장을 하는데
돈의 가치가 너무 떨어져서 실제로는 모든게 마이너스입니다.

2.

제가 보기엔 현상황이
붐플레이션이든 스태그플레이션이든
결국에는 경기 침체가 온다고 봅니다.


하지만 그 골은 깊지 않다고 봅니다.



왜냐하면
인플레이션이라는게
결국에는 private sector 사기업 영역에서 해결되기 때문입니다.

연준은 긴축 통화정책이라는 엄포를 놓았고
척박해지는 금융 환경에
사기업들은 긴축 경영을 하기 마련입니다.

그렇게 실업율이 높아지면서
자연스레 경기 침체는 오기 마련입니다.

미 국민들의 소비력을 잠재우는 방법으로
실업 만큼 강력한 무기가 없습니다.

현재 미 실업율은 3.5프로입니다.

이게 5프로까지만 오르더라도 경기 둔화가 눈에 띌겁니다. 또 이 쯤되면 근원 물가상승도 3프로 대로 쳐질 겁니다.

실업율을 높이는 건
결국 기업들의 긴축 경영이며
이 과정에서 침체는 불가피합니다.






3.

금요일 증시는 고공행진을 하고 있습니다.

불투명한 금융 환경에도
고PE의 주식들을 계속사고 있다는 점이 매우 고무적입니다.

침체는 오겠지만
노동시장과 소비 심리가 심하게 꺾이지 않을거라
월가에서 베팅하는 모양입니다. 심리적인 저항선인 4200이 뚫린만큼
4310-4330까지는 문제 없이 올라갈 것 같습니다


투자 심리가 확 살아난 만큼
매크로 상황을 한번 더 살펴보고
투자하시길 권합니다.


결론

명목상 미국 성장률은 가파르게 확장중이다
허나 높은 인플레를 감안한 실질 성장률은 두 분기 연속 마이너스이다. 게다가 노동 생산성까지 줄고 있다
어떻게 보면 붐플레이션이고
또 어떻게 보면 스태그플레이션이다

기업들의 어닝은 명목 수치임으로
지난 분기 좋은 성장을 했다
허나 다음 분기부터 성장이 꺾일수도 있다
명목 성장수치 마저 꺾이는 셈이다.
이럼 증시가 다시 하락할 수도 있다.

인플레가 정점을 지났다고 마냥 좋아할 일은 아니다.

즐거운 한 주 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