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엔비디아 어닝비트, 현실적 목표주가는 $1350

바그다드재벌 2024. 5. 23. 07:40

출처  = 유사남 유튜브

 

 

안녕하신지요.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된 엔비디아의 어닝이 좋게 나왔습니다.

지난 몇분기 내내 어닝 비트가 나와서

이번에 월가에서 어닝 예상을 많이 세게 줬는데도,  

이마저도 비트했습니다.

 

이번 분기 호실적은 이미 예상된 부분이었습니다.

빅테크들이 하나같이 ai 부문 데이터센터 투자를 늘렸고

데이터센터 수요떄문에 구리값도 폭등하였기에

ai 반도체 수요 걱정과 엔비디아 실적 걱정은 기우에 불과했습니다.

 

이번 어닝 발표를 요약하자면

매출도 굿, 수익도 굿, 가이던스도 굿, 배당 확대도 굿, 여기다가 주식 분할 소식까지 겹경사 입니다.

장외 시간에선 1000불을 이미 돌파했습니다.

 

현재 나온 소재만으로도 앞으로 20% 정도 랠리가 나올테고 1200불 정도는 무안하리라 봅니다.

다만 내일이나 모레같은 경우 sell the news 매도세가 있을겁니다. 

단기 조정이 올 수도 있으나, 이는 또 다른 매수 기회로 보고 있습니다.

 

 

2. 

 

전글에서 말씀드렸듯이, 엔비디아는 향후 2년간은 문제 없을 거라 봅니다. 

 

그나마 걱정이 되는 건 

 

ㄱ) ai 혁신이 이제 연산에서 추론으로

포커스가 바뀌고 있는데,

이는 더 우수한 gpu 칩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즉 저가형 ai 반도체 수요가 늘어날 뿐, 고가의 반도체 수요는 언젠가는 줄어들 겁니다.  

저번 분기에 젠슨 황이 이를 간파하고

더 낮은 비트 (bit) 로 ai를 추론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발표했습니다. 

엔비디아도 이 부분에 대해서 인지하고 있고 저가형 칩을 확대 생산하리라 봅니다. 

 

 

ㄴ)  현재 엔비디아가 이쪽 반도체의 90%를 독점하고 있는데,

현실적으로 점유율이 떨어지는게 자연의 이치입니다.

점유율이 떨어지더라도, 전체 파이가 커지면 되는데, 

전체 파이가 저가형 중심으로 커지면 엔비디아에겐 문제가 됩니다. (수익성 악화)

 

 

3. 반도체 수요와 점유율 감소는 중장기적인 문제이고, 

향후 2년간은 지속된 성장과 매출 증진이 있을 겁니다.

시총 1위 기업으로 가는 건 시간 문제라고 봅니다. (내년에 가능??)

현재 마이크로소프트의 시총이 3.3조 달러이며

이를 뛰어넘으면 엔비디아 주가가 대략 1350불이 됩니다. 

 

유명한 헤지 펀드 매니저인 댄 나일스 왈

"엔비디아의 현재 모습은 닷컴 버블때  시스코와 유사합니다.

다만 시스코는 3번 정도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저점대비 40배 정도의 주가 상승을 이뤘습니다."

엔비디아의 2022년 저점이 110불이었고, 여기에 20배 정도만 대입하더라도 2200불 정도가 나오는데

이건 너무 장미빛 희망으로 보입니다. 

 

현실적으론 1350불 정도를 1차 목표로 보시는게 맞다고 봅니다.

 

과거 Secretariat이라느 명마가 벨몬트에서 다른 말들을 멀치 감치 따돌리는 모습입니다.

과거 Secretariat이라느 명마가 벨몬트에서 다른 말들을 멀치 감치 따돌리는 모습입니다.

현재 엔비디아의 모습이 이렇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럼 이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