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드디어 금, 비트코인, 브렌트유 매입

바그다드재벌 2020. 8. 6. 07:06

드디어 금을 샀습니다.

온스당 2000불이 넘어가는 마당에 좀 늦은감은 있지만

약 달러기조가 심히 염려되어 좀 담았습니다.

금 이외에 비트코인과 브렌트 유 펀드인 BNO도 샀습니다
비율은 금 8: 비트코인 1: 브렌트 유 1 입니다.

전체 비중은 포트폴리오의 2% 정도입니다.
조정이 생기면 조금 더 모아갈 생각입니다.





약 달러에 대해 다시 한번 복기하죠.

현재 약 달러가 나오는 이유는

1. 달러 과다 공급.

미국에선 코로나로 6조 달러가 갑자게 생겨났습니다.
실질 금리 = (기준 금리 - 인플레이션)은 이미 마이너스 입니다.
즉 미 국채를 사도 실질적으론 마이너스가 나는 세상입니다.

거기다가 유럽에서 부양책을 들고 나오면서 유럽 국채의 수익률을 좀 더 높게 매겨주는 분위기입니다. 유럽 국채 매력도가 올라가니 유로로 돈이 몰립니다.

달러 가치는 더 하락합니다.

연준은 달러 가치하락을 용인하는 기조입니다.

달러 가치 하락은
거대 채무자인 미 재정부의 빚의 가치가 줄어든다는 의미입니다.

미 국채 채권자인 일본, 중국 정부는 싫어할 부분입니다.
대신 채무자인 미 정부는 단기적으론 좋아할 일이죠.


2. 연준의 인플레이션 주도 이유

인플레로 간다는 말은 디플레를 피한다는 말입니다.

제로 금리시대엔 개나 소나 돈을 빌릴 수 있습니다.
제대로 돈을 못버는 좀비기업들이 연명할 수 있는 환경입니다.
근데 경쟁력 없는 좀비기업들이 살아남아 과잉생산을 하면 물가가 떨어지고 견실한 기업들의 마진도 줄게 됩니다.

견실한 기업의 마진이 줄면 실직자가 생겨나고, 그럼 물가가 더 떨어집니다.

여기에 달러가 강하게 유지되면
수입 물가가 낮아져서
기업 마진이 더 떨어지게 됩니다.

일본이 경험한 디플레이션의 덫이 시작되는 겁니다.

그래서 디플레는 필사적으로 피해야하는 길입니다.


3. 약 달러의 위험

어차피 6조 달러를 채무로 끌어오는 미국 입장에선
인플레로 가서
물가를 상승시키고
소비 심리를 자극하는게 낫습니다.
또 미국 정부의 빚이
달러가치 훼손으로 줄어드는 마법도 생겨나게 됩니다.

근데 달러 가치가 너무 떨어지게 되면
달러 표시 자산을 가지고 있는 외국 국가들이 싫어합니다.
또 페트로 달러의 매력도,
미 국채의 매력도 떨어지게 됩니다.

명목 금리가 이미 마이너스인 미 국채를
달러 가치가 계속 떨어지는 마당에 누가 사고 싶을까요?

미 국채 매력의 하락은
연준이 가용할 수 있는 유동성 공급에
차질을 줄 수 있습니다.


그래서 파월 형님께서
인플레 상향 목표를 연 2%로 설정했습니다..

근데 어제 뉴스를 보니
https://www.google.com/amp/s/m.biz.chosun.com/news/article.amp.html%3fcontid=2020080501540

美연준, 제로금리 유지 위해 '평균 인플레이션' 도입하나

특정기간 물가상승률 2% 초과할 때까지 금리 유지연준, ‘상당기간 제로금리 유지’ 위해 명문화 검토 "실질금리 하락…금·은·주식엔 호재"미국 연..

biz.chosun.com

인플레 목표가 연 2% 아닌
평균 2%로 명문화 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내년 5월에 물가 상승률이 2.2%가 됐는데
3,4월 물가 상승이 1% 밖에 안됐으니
3개월간 평균 물가 상승은 2% 이하다, 그럼으로 양적완화는 계속할 것이다. 이렇게 나올 수 있습니다.



인플레 즉 달러 가치 훼손 속도가 연 2%가 넘게 나와도
기축통화 지위엔 문제가 없다고 판단한 모양입니다.


평균 인플레 2%에 도달하게 되면
우선 양적 완화를 멈출 겁니다.

그래도 안 잡히면 기준 금리를 인상할 겁니다.
(미 기준 금리가 오르기 전에 글로벌 경제가 회복되어야 할텐데, 안 그러면 이머징 마켓이 죽어날겁니다)



근데 인플레 2% 가는게 쉬운 일이 아닙니다.

현재 미국 가정의 10%는 실직자입니다.
하위 40%는 10년전에 비해 실질적으로 임금이 늘어나지 않았고 liquidate 할 수 있는 금융 자산도 크게 없습니다.

코로나가 완전 종식되어
노동 환경이 정상화되어야
물가 상승/ 인플레이션이 제대로 나올 수 있습니다.

결국 연준이 판단하기에
인플레이션이 나오기 까지는 시간이 좀 남았다고 판단하는 모양입니다.





****제가 오늘 더위를 좀 먹어서 하루종일 침대에만 누워있습니다.
핸펀으로 글을 쓰기에 좀 정리가 안 된글을 올립니다. 양해바랍니다


결론: 달러인덱스가 92로 떨어졌고
80대 후반까지 더 떨어질 수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제로 금리 종료는 인플레 2%가 아닌
평균 인플레 2%로 상향 조정되었다.
연준의 돈 풀기는 생각보다 길어질 거 같다.

그래서 참다가 참다가
오늘 금, 비트코인, 유가 인덱스를 샀다.

인플레 및 약 달러 헷징은
고 성장주 주식들과 위의 3개로 하는게 맞다고 본다.

나는 이미 고 성장주식들이 많으니
위의 3개를 주워 담은 것이다.

은도 좋은 대안이 되겠지만
조정이 좀 올때 들어갈 생각이다.




추신. 질문은 댓글로 주세요.
단 개인 종목 상담은 안 받습니다. 대부분 제가 모르는 종목들입니다.
질문은 가급적이면 공개적으로 해주세요. 다 같이 배우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