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54

현인과의 대화 08/26

현인과의 대화 어제 다우 지수의 변화를 봤나? EXXON MOBIL이 빠지고 클라우드 회사인 세일즈포스가 들어오게 되었다네. 정말 역사적인 날이 아닐수 없네. 어제 일을 바탕으로 포트폴리오 구성을 할 필요가 있네. 코로나 종식과 상관 없이 언택트의 수요와 이윤 창출은 컨택트를 능가하리라 보네. 코로나가 완전 종식 되었다고 상상을 해보세. 숙박업, 관광업, 요식업등 개인의 이동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업들은 살아날걸세. 하지만 매출이 100% 회복되겠나? 국민중 10-20%는 예전만큼 경제활동을 하지 않을 걸세. 실업이나 바이러스에 대한 공포감 때문이지. 매출이 팬데믹 전의 20% 감소한다면 수익면에서 40-50% 급감할 수 있다는 말일세. 물가가 상승하고 최저임금은 늘어나는데 매출이 감소하면 수익이 악화될수..

카테고리 없음 2020.08.26

꽃보다 구글?

요줌 한국에선 코로나가 재확산 되어서 난리라는데 다들 건강 조심하시기 바랍니다. 종교의 힘으로 다함께 시련을 이겨내는건 좋지만 종교의 순수한 목적이 변질되고 공중보건의 위기를 심화시키는 모습이 정말 보기 안 좋습니다. 오늘은 애플과 구글 얘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애플이 미친듯이 오르는 이유는 전 글에서도 설명을 했습니다. 영업 이익은 급격한 성장을 하지 못하나 stock engineering 을 통해 자사주 매입, 배당을 늘려 주당 순이익이 늘어나는 마법이 일어났다. 거기다가 서비스 부문의 확장으로 애플 생태계의 수익 플랫폼이 완성 되어가고 이게 월가의 열렬한 환호를 받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 5G 휴대폰의 대기 수요를 생각하면 적어도 내년까진 애플의 상승세가 꺽이기 힘드리라 봅니다. 허지만... 하지..

카테고리 없음 2020.08.24

난중일기 08/20/20 연준의 최근 스탠스. 노 일드캡. 유 노우?

오늘은 최근 연준의 발표문에 대해서 썰을 풀어 보겠습니다. 오늘은 달러가 오르고, 금은 떨어지고, 국채 가격은 떨어졌습니다. 제 글을 읽으시면 위의 가격 변동이 이해 가실 겁니다. 우선 어제 연준이 "우리 일드캡은 안 할거 같애" 라고 합니다. 일드캡은 뭔가요? 연준이 시장에 돈을 공급할때 단기 금리를 제시하면서 합니다. 우리가 흔히 아는 기준 금리는 단기 금리를 말함. 이 단기 금리를 정하면서 시장에 공급되는 돈의 속도를 조절합니다. 장기 금리는 대개 단기 금리의 변동에 따라갑니다. 단기 금리가 떨어지면 장기 금리는 내려가고, 반대로 올라가면 같이 올라갑니다. 예외가 되는 경우가 장 단기 금리 역전입니다. 이게 뭐냐하면 시장 침체가 예상되면 장기 국채가 인기를 얻게되고 그 인기로 인해 장기 금리가 단기..

카테고리 없음 2020.08.20

난중일기 - 연준 디지털 화폐 시험중. 이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연준이 지난 6개월간 디지털 화페를 테스트 중이라고 한다. 각국의 중앙은행들이 디지털 화폐를 마련하는 트렌드로 보아선 크게 놀라운 일이 아니다. 오히려 달러 기축 통화 유지를 위한 선제적인 대응이라고 볼 수도 있다. 비트코인이 처음 나오고 인기를 끌었을때, 화폐 가치의 미친 변동성에 화폐로서의 지위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했다. 탈중앙집권적인 시스템의 한계를 여실히 보여주었고, 투기 열풍만 이끌고 와 금의 지위에 도전 하지 못하게 되었다. (하지만 달러 헷지 역할은 제한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각국의 디지탈 화폐 도입의 도화선은 페북의 리브라가 당긴게 아닌가 싶다. 달러 50 유로 18 엔 14 파운드 11등등을 보유고에 넣고 세계 단일 화폐의 꿈을 꿨지만 민간 기업의 기축통화 도전은 여러 강대국의 ..

카테고리 없음 2020.08.19

난중일기 버핏지수. 지금 증시는 꼭대기인가?

1. 2007년으로의 의식의 흐름 오늘 뉴욕은 하루 종일 비가 왔습니다. 날씨도 선선해서 20도 이상을 올라가질 않더라구요. 선선한 온도에 비 냄새를 맞자니 벌써 가을이 온듯한 착각이 들었습니다. 스벅의 펌킨 스파이스 라떼가 무진짱 땡기는 날이었습니다. 13년전 가을 한동안 펌킨 스파이스 라떼에 꽃혀서 데이트 내내 먹었던게 생각나네요. 뒤돌아보면 참 좋았던 때였습니다. 코로나 따위는 없었고 육체적으로도 피곤 따위를 몰랐을 때니까요. 그때 돈을 잘 못 벌었어도 열심히 연애하고 모범생 여친을 대하느라 인격 수양도 했던게 기억이 납니다. 뭐.... 그땐 정말 후회없이 살았던 것 같습니다. 가끔은 그 때 쥐꼬리만한 돈이라도 탈탈 털어서 애플 주식을 샀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 때는 컬러 액정이 ..

카테고리 없음 2020.08.18

현재 애플 주가에 대한 생각

오늘은 애플에 대해서 써볼까합니다. 제 포트에 마소랑 제일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종목이며, 올해 제게 큰 기쁨을 가져다준 주식입니다. 요즘 애플을 보면서 흐뭇하기도 하고 동시에 걱정도 됩니다. 단순 하게 봤을 때, 애플 주가가 계속 오르는 이유는 뭘까요? 1. 돈을 잘 벌어서 2. 제품이 좋아서 3. 미래의 수익성이 유망해서 4. 브랜드 가치가 높아서 5. 주주 친화적 이라서 6. 보기 전부 다 해당함. 정답은 6. 전부 다 해당입니다. 애플은 엄친아, 엄친딸 기업입니다. 독보적인 제품 라인업에, 브랜드 가치도 좋고, 스마트 폰 성장 둔화에 애플 생태계를 기반으로 서비스 부문도 확장 중이고, 매년 자사주를 5%씩 소각하며 주주 환원에 매우 친화적인 기업 입니다. 근데 뭐가 걱정이냐고요? 밸류에이션 입니다..

카테고리 없음 2020.08.16

난중일기 8.15.20 광복절 특집

오늘은 한국은 광복절이네요.. 대한독립만세입니다. 나라의 독립과 국민의 자유를 위해 목숨을 바친 독립운동가, 독립유공자 가족분들께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표합니다. 미국 주식으로 경제적 독립을 완성해가는 이 바재는 지난 6개월간의 드라마틱한 장에서 투자하면서 느낀점들을 정리해 올립니다. 우선 저는 작년 연말에 투자 지분의 40%를 정리했습니다.. 나스닥 고평가 우려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생각해보니 그 때 실탄을 마련한게 신의 한수인듯 그리고 유튜브에 8.15 방송을 통해 조던님을 알게되고 마삼 탈출 전략에 대해서 배우게 되었습니다. 2월24일 나스닥 마삼이 발생하고 지분의 대부분을 정리했습니다. 그리고 고점 대비 10%, 25%, 28%에 말뚝을 박았습니다. 그리고 4월부터는 CCL, AEO, LUV 같..

카테고리 없음 2020.08.15

슈뢰딩거 투자노트

ERWIN SCHRODINGER 몇몇분들이 슈뢰딩거의 유망성에 관해 쪽지를 주셨습니다.​진정한 next 테슬라가 될거 같으니 무조건 투자해야한다고 하시는 분도 계시고, 너무 고평가된거 아니냐 걱정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그래서 리서치를 좀 해보았는데요. 의료쪽에 있는 저에겐 사업모델을 이해하는게 그리 어렵진 않았습니다.​"AI와 딥러닝을 사용해서 분자역학을 분석하고,그 분석을 통해 신약 개발에 필요한 비용과 시간을 줄이는데 서비스를 제공한다."이게 슈뢰딩거의 사업 모델입니다.​더 세세한 부분은 https://woojkim71.tistory.com/m/125 에서 발췌한 부분을 보시면 더 이해가 되실겁니다.​​비즈니스모델​AI와 그 어떤 상장기업과도 비교되지 않는 세계적 수준의 과학자들이 개발한 머신러닝..

카테고리 없음 2020.08.14

마이크로소프트 투자 노트 8/14/20 UPDATE

마이크로소프트 투자 메모. 투자 메모는 매수 전에, 또 매도 후에 꼭 하셔야 합니다. 메모를 하는 이유는 투자 실수를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그리고 자신의 투자 원칙을 확고히 하기 위해서입니다. 출처: https://finance.yahoo.com/news/microsoft-corporation-stock-analysis-154338543.html 글 말미에 업데이트를 꼭 숙지하십시오. 마소. 시총 2위의 기업. 투자 등급 AAA 기업. 경쟁사. 애플과 아마존. 투자를 해야 하는 이유 1. 일단 현금 흐름이 너무 좋다. 그리고 요즘 같은 재택근무 시대에 더욱 더 돈을 많이 벌수 있는 기업. A. 비즈니스 모델 자체가 구독제임. 달마다 돈이 꾸준히 들어옴. 예전에는 오피스 시디 한장 팔고 끝이었는데, 이제는..

카테고리 없음 2020.08.14

현인과의 대화 - 번외편

이건 최근의 대화가 아닌 예전에 했던 대화를 제 기억을 되살려 옮긴 것입니다. 내용이 좀 파편적이니 이해해 주세요. 1. 투자의 제1원칙은 무엇인가요? A. 밤에 잠을 잘 자는 거네. 투자 때문에 괴로워하고 건강을 잃을 거면 안 하는게 낫네. 떼돈 벌어도 건강이 나빠지면 무슨 소용이겠는가? 원칙을 세우고 기계적으로 투자하게. 자본주의에 대한 믿음이 있다면 시장은 절대 자네를 저버리지 않는다네. 2. 본인 투자의 궁극적인 목표는 뭡니까? A. 난 평균 연령보다 더 건강하게 사는게 투자의 목표라네. 늙어서라도 자본이 풍부하면 건강 관리를 더 잘 받을 수 있고 나중에 죽더라도 해 볼거 다 해보고 죽을 수 있지 않겠나. 3. 주식은 언제 팔아야 하나요? A. 왜 팔아야 하나. 현금흐름이 막강한 초 우량주에 모멘..

카테고리 없음 2020.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