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54

04.28.21 제로금리 양적완화 유지

1. 오늘 파월의장의 회견이 있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제로 금리와 양적완화 정책에 변화가 없음을 확실히 했습니다. ​ 다만 백신접종이 잘 되고 있고 고로 경제 전반의 outlook 은 좋아보인다 그러나 우리가 원하는 레벨까지는 안 올라왔다고 합니다. ​ 연준 내에서도 만장일치로 현 정책을 유지하기로 했다고 합니다. ​ 인플레이션과 관련해서는 보복소비와 공급체인의 수급부족으로 단기간 인플레 발생은 있을수 있으나 Transitory 단기간에 그칠 거라고 합니다. ​ 올 3월 근원물가 상승율은 2.3%이었습니다. 근원물가는 유가를 제한 수치로 올 연말까지 유가가 80불까지 오르면 인플레이션이 3%를 넘길수도 있다고 봅니다. ​ 이런 경우가 나와도 연준에서 지켜보겠다는 얘기입니다. ​ 인플레 oversh..

카테고리 없음 2021.04.29

04.28.21 증시 늬우스

1. 오늘도 짧게 갑니다. MSFT는 어닝 서프라이즈에도 장마감후에 떨어지고 있습니다. GOOG 은 어닝이 특출나게 좋아서 장외에 많이 올랐습니다. FedEx 랑 UPS도 어닝이 특출나게 좋았고 UPS는 10%가량 올랐습니다. 이는 무엇을 시사하는건가? FedEx 랑 UPS 같은 운송업은 경기 순환업주들의 바로미터가 됩니다. 구글은 광고회사로 중소 소매업들과 서비스업들의 경기를 대변합니다. 경기 순환주들이랑 구글같은 반(半)경기민감주들이 그동안 많이 올랐지만 아직도 더 오를 여력이 있어 보입니다. 거기다가 금리까지 안정되어있기에 지금의 랠리는 조금 더 이어질 듯합니다. SP500가 장중 4194까지 찍었는데요 2-3% 더 올라 4300 가까이 갈 듯 합니다. 제가 미리 계획한대로 4300 가까이에서 헷징..

카테고리 없음 2021.04.28

한입에 먹는 뉘우스. 04.27.21

오늘도 짧게 짚고 갑니다. 이번주는 빅테크 5인방의 어닝이 있습니다. 내일은 마소, 모레는 애플이 어닝 발표를 합니다. 이 둘이 어닝 미스가 나면 전체장이 미끌어질겁니다. 바로 조정에 들어갈 수도 있습니다 . 그 만큼 이 두 기업이 전체장에 차지하는 비중이 큽니다. 경기민감주는 1분기 실적이 안좋을거라 예상은 하는데 기대했던 빅 테크까지 안 좋아버리면 바로 조정 들어갈 수 있습니다. 마소는 어닝 서프라이즈 애플은 소폭 서프라이즈가 나오지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이번주에는 빅테크가 견실한 어닝을 발표하며 전체지수를 견인하지 않을까 봅니다. 아마존이 조만간 분할을 할거라는 루머가 있습니다. 이런 루머는 열번도 넘게 들었습니다. 크게 신경 안씁니다. 2. 테슬라 실적이 좋았습니다. 주당 어닝이 93센트로 예상..

카테고리 없음 2021.04.27

Tom Lee의 최근 인터뷰

Fundstrat TOM LEE의 최근 인터뷰를 봤습니다. 개인적으로 느낀바를 적겠습니다. 1. 앞으로 파괴적이며 혁신적인 섹터는 어디가 될건가? ㄱ) 자율주행. 최근 40년간 미국 노동자들의 출퇴근 시간은 되레 늘었다. 출퇴근 시간이 산업 노동력이나 생산성에 있어 마이너스가 되었다 하지만 자율 주행이 나오면 출퇴근 시간이 되레 줄어들고 그 시간에 더욱 생산적인 일을 할 수 있게 될것이다. 자율주행과 이에 기반된 플랫폼을 쥐는 기업이 득세할 것이다. 개인적으로 테슬라 인텔 nvda 구글 마소 애플이 떠오른다 ㄴ) 우주산업 우주를 확장하면서 선진국들의 GDP가 늘 수 있다. 다른 행성을 식민지화하여 광물을 독점하는 국가가 세계패권도 쥘 수 있다. 다만 주식 투자를 할 기업들을 찾는게 쉽지 않아 보인다. 개..

카테고리 없음 2021.04.25

비트코인 조정인가?

비트코인이 폭락하고 있습니다 레버리지 투자를 했다가 마진콜을 당하는 금액이 100억달러에 달한다고 합니다. 적게는 1:4에서 많게는 1:125 레버리지를 쓴다고 하니 가슴이 아픕니다. 옆에 있었더라면 뜯아말렸을텐데. 여기서 중요한 질문은 비트코인이 우상향속에서 조정을 겪는것인지 아님 투기의 말로를 보는 것인지 입니다. 제가 보기엔 우상향하는 과정 속에 강한 조정을 받는 것 같습니다. 150일 이평선인 41000불 대에 바닥을 다지지 않을까 봅니다. 최악의 경우에는 반토막이나 3만불까지 밀릴 수도 있다고 합니다. 우상향으로 보는 이유는 대체자산으로서 월가 기관들에게 환영을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최초의 블록체인이라는 상징성과 높은 인지도 탓에 투자 자산으로 자리를 공고히 하지 않았나 봅니다. 실제로 자산의..

카테고리 없음 2021.04.24

부자증세에 대해서

바이든 정부에서 100만불 이상의 소득자에 한해 장기 capital gain tax를 현행 20%에서 39.6%로 올릴 계획이라고 블룸버그 통신이 전했습니다. 딱히 크게 놀랄 일은 아닙니다. 바이든이 대선 선거 유세때 이미 언질을 했으니까요. 하지만 그 영향력이 생각보다 크리라 봅니다. 우선 미국에서 이만큼 돈을 버는 사람들은 한해 50만명 정도 됩니다. 그리고 이들 중 대부분이 capital gain으로 돈을 버는 사람들이죠. 샐러리로 이만큼 버는 사람은 매우 적습니다. 연봉이 제로인 Mark Zuckerberg는 본인 주식을 팔지 않는 이상 세금을 안낸다고 보면 됩니다. 이들 대부분이 세금 떄문에 장기 투자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주식 장기투자로 20%만 내는게 월급 받아서 내는 세율의 반이니까 주식을..

카테고리 없음 2021.04.24

04/22

1 오늘은 백신 뉴스에 3대지수가 올랐습니다 미국에서는 2억회분의 백신 접종이 이뤄졌습니다. 기존 예상보다 1주일 앞선 결과인데요 당연히 오늘 경기 민감주 항공 크루즈주가 올랐습니다. 넷플릭스는 신규 가입자 수치가 실망스러워서 떨어졌습니다. 현재 포트의 0.6% 투자중입니다. 추매는 안합니다. 전체 스트리밍 업계가 고평가 된부분이 있다고 봅니다. 치폴레의 어닝은 예상치를 상회했습니다. 다음 조정에 담을 가치가 있는 주식입니다. 티커는 CMG입니다. 현재는 투자하지 않고 있습니다. 반도체 주들의 어닝이 괜찮게 나왔습니다. 수급 문제에도 불구하고 전체 섹터의 매출 상승이 올해 30%이상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0대초반에 구입한 Soxl (반도체 3배 레버리지)은 조만간 정리할 계획입니다. 대신 1배 ..

카테고리 없음 2021.04.22

4.20일 이모저모

1. 비트코인이 주말내에 폭락했습니다 53000불까지 밀리면서 마진 레버리지를 써서 투자중인 백만명 이상의 계좌가 날라갔다고 하네요. 저는 포트의 무려 0.12%나 코인에 투자중이여서 아무런 타격이 없습니다. 비트코인은 이제 달러 대체 자산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는 중입니다. 결제를 위한 자산으로 각광 받는게 아닌듯 합니다. 여러 핀테크의 발전이 비트코인의 편리성을 대체하리라 봅니다. 달러 대체 자산으로 금, 비트코인의 양강체제로 가지 않을까 봅니다. 현재 비트코인 시총은 금의 1/10으로 금 자산의 시총까지 커진다면 개당 50만불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제가 보기엔 올해안에 꾸역꾸역 10만불까지는 갈듯합니다. 저는 포트의 0.3% 이상은 투자 안할 계획입니다. 연준이나 금융 선진국들의 제재가 나오는 순간 ..

카테고리 없음 2021.04.20

바그다드재벌은 ETF 예찬론자

제가 ETF 예찬론자인 건 모두가 아는 사실입니다. 월가에서 잘 나가는 분들께서도 이렇게 말합니다. An ETF investing is a poor man's best friend. 세계 유수의 펀드 매니저들도 지수를 쉽게 못 이기는 사실입니다. ETF만 투자하는 제 친구 얘기를 할까 합니다. 제 친구 중에 ETF만 사는 친구가 있습니다. QQQ와 VOO, 그리고 가끔 IWM이라는 중소기업 ETF만 삽니다. 거의 20년가까이 ETF만 사는 친구입니다. 경제 뉴스도 잘 안보고, 구독 서비스는 일절 하지 않습니다. 유일하게 보는 뉴스가 뉴욕타임스입니다. 그냥 여윳돈으로 저금 대신 주식에 투자합니다. 이 친구왈, 미국 주식시장이 망하면 세상이 모두 망한다는 말인데, 왜 굳이 시장에 투자 안하느냐? 욕심 부리지..

카테고리 없음 2021.04.18

닷컴 버블의 재림?

요즘 친구들을 만나면 주식이 너무 오르지 않았냐고 걱정합니다. 한달전만해도 “너무 떨어지는 거 아니냐 지금이라도 팔아야하나 아님 들어가야하나” 하고 호들갑을 떨었는데 그래서 간단한 지표를 보여드리겠습니다. 월스트릿저널에서 인덱스 PER을 보여주는데요 4월9일자로 현재 나스닥은 PER가 39.98 SP500은 47입니다. 이는 지난 12개월동안 기업이 거둔 수익을 바탕으로 한겁니다 앞으로 12개월간 기업이 거둘 추정 수익을 바탕으로하면 Forward PE가 많이 떨어집니다. 나스닥은 30 SP500은 23.5입니다. SP500은 지난 12개월에 비해 앞으로의 12개월동안 기업의 수익이 갑절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추정이 됩니다. Forward PE만 놓고 보면 닷컴 때에 비할바가 아닙니다 그당시 포워드 PER..

카테고리 없음 2021.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