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54

파월의장의 원맨쇼. 그 약발은 언제까지?

오늘은 너무 바빠서 짧게만 쓰겠다. 오늘 아침 장은 10년물 금리가 1.42%까지 오르며 기술주들이 다시 빠지기 시작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전날 저점인 229불까지 빠졌다. 이러다가 11시쯤에 파월의장의 의회 회견이 있었고 목표인플레이션 달성까지 최소 3년은 걸릴 거라고 발언했다. 앞으로 3년동안은 Easy money를 계속하겠다는 뜻이다. 이에 증시가 환호했다. 얼마나 환호했냐면 잊허져간 게임스톱까지 올랐다. 파월의장이 시장을 분명 안심시킨 것은 맞으나 중장기 금리는 꾸준히 오를 것이다. 애초에는 연말에 10년물이 1.7%을 찍을거라 예상했지만 이젠 2% 많게는 3%까지 예상하는 이들도 있다. 성장주의 밸류에이션에 타격이 갈 듯하다. 그리고 경기민감주와 에너지주 은행주가 뛰어오르고 있다. 여기서 중요한..

카테고리 없음 2021.02.25

혼돈의 하루 feat. Jerome Powell

1. 참으로 무서운 하루였다. 나스닥이 장 시작과 3.5%가량 빠지며 13000 붕괴를 앞까지 갔다. 내가 누누히 말해온 12000대 조정이 눈앞에 왔다. RSI가 10까지 떨어졌고, 나는 이걸 매수 신호로 여겨 TQQQ, AAPL call option, IPOE, CSIQ, TSLA를 매입했다. 특히 애플 콜 옵션은 오늘 최저점에 사게 되는 행운까지 얻었다. 내심 파월의장이 시장을 안심시켜줄 멘트를 할 거라고 기대도 했었다. 2. 왜 빠졌을까? 아침에 빠진 걸 보면 나스닥 > SP500 > 다우 순이었다. 10년물 금리가 1.37%까지 오르며 고PER의 성장주들이 폭락했다. 성장주로 대변되는 ARKK같은 경우 일주일내에 10% 정도가 빠지고 테슬라는 전고점 대비 30%나 빠졌다. 반면 가치주들은 선방을..

카테고리 없음 2021.02.24

낮은 출산율은 정말 재앙일까?

제가 비록 몸은 미국에 있지만 정서적으론 뼈속까지 한국인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한국의 미래에 대한 고민도 함께하게됩니다. 프레시안에서 출산율의 근원적인 원인에 대해 좋은 기사를 냈습니다. 읽어보시길 추천합니다. https://m.pressian.com/m/pages/articles/273079낮은 출산율은 정말 재앙일까?2018년 우리나라의 합계 출산율은 0.98을 기록하며 1.0의 벽이 깨어졌다. 또한 최근 발표된 2019년 3분기 전국 출생아의 숫자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8.3% 줄어든 7만3793명을 기록해 합계 출산율은 0.88m.pressian.com

카테고리 없음 2021.02.22

현 시점 진단 — 성장과 금리의 싸움

1. 경제지표와 확진자 수가 꾸준히 좋아지고 있다 1월 리테일 판매는 5.3%가 늘었다 12월말에 나온 9000억불 부양책의 효과인것 같다 10년물 금리는 1.34%로 팬데믹 전의 1.6%을 거의 회복중이다. 이건 차기 부양책 외에도 경제회복을 선행하는 모습이라고 보면된다. 1분기 경제성장율은 6-7.5%로 예상된다. 2, 3분기는 10%대로 예상된다. 이는 연율 수치로 4로 나눠보는게 정확하다 저번주는 테크와 성장주에서 돈이 빠져나와 경기민감주, 전통주로 흘러가는 모습이다. 내 포트 내에서는 애플과 마소가 많이 빠지고 RSP와 VOO가 선방을 했다. 작년부터 RSP를 많이 담았던게 드디어 빛을 보는 듯하다. 금리가 오르면 금융주도 오른다. 그래서 저번주에 BAC를 좀 담았다. 올해 안에 유의미한 조정은..

카테고리 없음 2021.02.21

금리는 계속 상승중. 그래도 주식은 꾸준히 가지고 간다.

미 국채 금리가 심심찮게 오르고 있다. 현재 10년물 금리가 1.3%를 육박한다.작년에코로나 초기에 0.5% 언저리에 있었던 걸 감안하면 참 많이 올랐다.월가에서는 벌써부터 금리 상승이 다음 조정을 일으키리라 예상한다. 1) 금리는 왜 상승하는 것일까?금리가 오르는 이유는 여러가지이다.연준이 기준 금리를 인상하여 오를 수도 있고,경기 회복 시 통화 유통 속도가 늘어, 돈에 대한 수요가 늘어 오를 수도 있다.또 대규모 부양책 앞두고 대규모 국채 발행을 기대하여 오를 수도 있다. 2) 금리 상승은 왜 증시에 안 좋은 것일까?현재 sp500 지수의 배당이익율은 1.5%이다. 위험자산의 배당보다 안전자산인 국채 수익률이 높아지면 당연히 주식의 매력도가 떨어지게 된다. 배당을 아예 주지 않는 고성장, 고 PER주..

카테고리 없음 2021.02.18

파월의장 성명발표. 양적완화 이렇게 해도 되는걸까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미국의 노동 시장이 완전 회복까지는 요원한 상태라며 경제 회복을 위해 저금리를 유지하고, 자산매입을 이어나가겠다는 뜻을 재확인했다. 파월 의장은 10일(현지시간) 뉴욕 이코노미 클럽의 온라인 세미나에서 “노동시장이 전반적 혜택이 모두에게 돌아갈 만큼 견조한 수준에 이르기까지는 멀었다”면서 “지속 가능한 최대치의 고용을 확보하는 것은 더 부양적인 통화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파월 의장은 저임금 노동자들이 일자리를 얻을 수 있을 만큼 경제가 회복되기 위해선 참을성 있게 순응적인 통화정책을 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그의 발언은 통화정책과 관련한 ‘비둘기파’로 해석됐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파월 의장의 발언은 한동안 연준..

카테고리 없음 2021.02.11

복잡하게 돌아가는 미국 경제상황

1. 미 국채 수익률이 계속 슬금슬금 올라간다. 10년물은 1.15%, 30년물은 2% 돌파했다. 실질금리 = 명목금리 - 물가상승율 현재로선 명목금리가 물가상승율보다 빨리 올라가고 있다. 실질금리가 마이너스에서 벗어날 수 있다. 금리의 인상은 고성장주에게 안 좋다. 최근 금리 인상에 월가에서 경기민감주와 전통주에 자금을 이동하는 모습이다. 10년믈 금리는 연말까지 1.7% 까지 상승하리라 본다. 헌데 완만하게 올라가야지 너무 빨리 오르면 주식시장에 안 좋다. 반면 금리 스프레드로 먹고 사는 은행주에게는 호재. 2. 옐렌 장관은 부양책을 더 풀어 완전고용을 이뤄내자고 한다. 완전 고용이 나오면 물가 상승율이 더 가파라진다. 연준과 재무부의 속셈은 부양책 통과 - 완전 고용 달성 - 목표 인플레 달성 - ..

카테고리 없음 2021.02.10

상원 부양안 통과. 2-3주 안에 하원 통과 기대... 현금 들고 기다리고 있습니다.

1. 구독자 여러분들, 혹한에 안녕하신지요? 금요일에는 상원에서 1.9조 달러 부양 안을 통과시켰습니다. 50-50 동률이 나왔지만, 해리스 부통령이 casting vote를 행사하여 51-50으로 통과시켰습니다. 이제 하원에서 조율을 하고 통과를 시킬건데,이르면 3주 안에 통과될 수도 있다고 봅니다. 증시는 이미 부양 안 통과를 반영하였기에 크게 움직이지는 않았습니다. 내주에 또 오른다면 기업들의 실적 호조 때문일 겁니다. 2. 재넷 옐렌 재무부 장관은 부양 안에 환호했습니다. 부양안 없이는 완전고용 (실업률 4%) 달성이 2025년까지 미뤄질 수 있다고 경고한 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부양 안으로 완전고용이 훨씬 더 일찍 다가올 것으로 예상합니다. 사실 4% 실업률이라는 게 꼭 완전고용을 의미하는..

카테고리 없음 2021.02.08

강세장 vs 조정장

1. 오늘 장이 괜찮았습니다. 다우는 사상 최고치를 찍었고 나스닥도 전고점 가까이 갔습니다. 이유는 생각보다 강력한 실적 때문입니다. 월가에선 작년 4분기 기업의 어닝이 10% 감소할 것으로 봤는데 현재까지의 발표된 실적으로 보았을 땐 오히려 1% 가까이 올랐습니다. 거기다가 미국 내 백신 접종자 수도 하루 100-130만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더욱 주목할 것은 다른 국가와 달리 미국 내에선 효능이 제일 우수한 모더나와 화이자 접종을 하고 있다는 겁니다. 이 페이스 대로라면 7월초에 전체 인구 75% 가 접종을 마쳐 집단면역이 달성될 수 있습니다. 어제 고용시장 뉴스도 괜찮게 나왔습니다. 한주간 신규채용이 14만명이나 나와서 월가의 1만명을 크게 상회했습니다. 미국채 2년물과 10년물 수익률 스프레드도..

카테고리 없음 2021.02.05

아마존 구글 예상대로 어닝 서프라이즈

아마존과 구글의 어닝이 역시나 대단했습니다. 장마감 뒤 공개된 아마존과 알파벳의 4분기 실적은 대단했습니다. 알파벳은 지난해 4분기 매출 569억 달러, 주당순이익(EPS) 22.30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월가의 컨센서스보다 매출은 컨센서스를 7.2% 초과했고, 주당순이익도 40.3% 웃돌았습니다. 전년 동기에 비해선 매출은 23%, 영업이익은 69.6% 성장했습니다. 특히 클라우드 사업 부문 매출은 38억 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46.2% 증가했습니다. 아마존은 사상 최대 실적을 냈습니다. 4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4% 늘어난 1256억 달러, 영업이익은 77% 늘어난 69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EPS는 14.09달러로 월가 예상치(7.23달러)를 한참 웃돌았습니다. (김현석의 월스트리트나우) 아..

카테고리 없음 2021.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