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54

06-25-21 이제부턴 벤치에서 관망중

1. 제가 최근 신나게 익절쇼를 벌였는데요 오늘은 구경만 했습니다. 현재 현금 비중은 41% 이고 주식 비중은 59%나 되니 버블장이 좀 더 커지는 걸 지켜볼렵니다. 주식비중이 주니 참 맘 편하게 지켜볼 수 있어서 좋습니다. SP500은 4270을 찍었고, 4310까지는 문제 없이 올라갈 것 같습니다. 2. 오늘 금융주들이 상승했는데요, 연준의 건전성 테스트를 통과했기 때문입니다. 시중에 유동성은 엄청 풀렸지만 은행들은 무분별한 대출을 해주지 않고 있습니다. 왜냐면 이번 팬데믹 동안에는 정부 (재정부)에서도 돈이 많이 풀렸고, 연준에서도 small business administration을 통해 EIDL이나 PPP같은 직접적인 중소기업 대출이 있었습니다. 연준이 모기지 채권까지 사주면서 모기지 금리가 ..

카테고리 없음 2021.06.25

06/18/21 오늘 시장 읽기. 주식 시장을 통한 자아 성찰

오늘은 삼대장이 모두 하락했습니다. 네 마녀의 날 (옵션 만기일)이라서 변동성이 심해진 부분도 있습니다. 네 마녀의 날이란 개별 주식 옵션, 선물 그리고 주가 지수 옵션, 선물 등의 네 파생상품이 같은 날에 만기 되는 것으로 오늘이 그런 날입니다. 통상 변동성이 커지는 날입니다. 요즘 금리 시장을 보면 2년물은 급등을 하고 10-20년물을 가파른 하락을 했습니다. 2년물은 대개 연준의 통화정책 긴축이 나올 듯하면 선제적으로 오르고 10년물의 하락은 긴축으로 인한 성장이 저해받지 않을까하는 걱정에서 나온듯합니다. 최근 물가는 상승하는데 소비자들의 씀씀이는 생각보다 핫하지 않는게 대표적인 예입니다. 기업들이 생산물가를 소비자에게 전가시키지 못하니 기업 마진은 줄어들고 가파르게 오른 물가에 소비 심리는 억제되..

카테고리 없음 2021.06.19

06.17.21 연준의 긴축 시그널

 오늘 FOMC 미팅이 있었습니다. 이것저것 발표가 되었는데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긴축 시그널이 나왔습니다. 그 배경에는 생각보다 높게 나온 미국 GDP 예상치 생각보다 높게 나온 PCE 물가상승 수치가 있습니다. 올해 미국 GDP는 6.8% 상승한다고 예상이 되었습니다. 미국 경제 규모의 파이가 7% 가까이 커진다는 겁니다. 작년 경제가 죽을 썼으니 기저효과로 부풀어진게 당연합니다. 올해 물가상승PCE 추이는 3.4%로 예상치인 2.4%를 상회했습니다. 경기회복이 생각보다 잘 나오고 과열 위험이 보이니 연준 내에선 긴축에 대한 논의가 시작되었습니다. 연준에서는 기준 금리와 통화정책을 정하는데 18명의 의원들이 투표를 합니다. 이 분들께서 FOMC 미팅마다 향후 금리에 대한 예측을 익명으로 기재하는데 ..

카테고리 없음 2021.06.17

06/14/21 장 시작전에

장기투자를 하는데에는 대전제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제 장투의 대전제와 시장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나눠봅니다. 1. 미국은 패권 국가이며 기술과 금융산업을 선도한다. 기축통화국이며 주주친화적인 시장이다. 고로 미 증시가 세계에서 제일 매력적이다. 나의 주식 투자 포트의 99%가 미국장이다. 1%는 브라질 (과매도 되었을 때만 쥽는다) 2. 기술의 발전은 노동의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기술 산업은 작은 자본만으로도 확장성이 매우 크다. 그렇기에 높은 밸류에이션이 정당화된다. 하지만 이미 돈을 잘 버는 빅테크들는 이익 성장 속도에 비해 오히려 저평가될 때가 간혹 생긴다. (특히 조정장에서) 현금흐름이 우수하고 기술 선도 기업들을 조정장에서 잘 줍고 오래 홀드한다면 어마어마한 수익을 남길 수 있다. -- FAA..

카테고리 없음 2021.06.14

6/12/21

어제 CPI가 작년 동기 5%나 올랐다고 발표되었습니다. 이런 과한 물가상승 수치에도 어제는 3대 지수가 조금 오르고, 금리는 더 떨어졌습니다. (10년물 1.43%까지 하락) 친구들이 깜짝 생일 이벤트를 준비했는데, 시장은 미리 알아버렸으니, 서프라이즈가 없는 셈입니다. 즉, 이 정도 물가 상승은 시장에 이미 선반영 되었다고 보는게 옳습니다. 그제 (물가수치 발표 전에) 금리가 미리 떨어진 것을 보고 제가 "시장이 물가상승을 선반영했다", "물가상승이 단기적일 거라는 파월 의장의 말에 수긍을 하는 것"이라고 말한 것과 같은 움직임입니다. 5% 물가 상승를 세부적으로 들여다 보면 중고차 가격, 원유값 상승 등 공급체인 문제가 대부분을 차지했습니다. 즉, 공급 라인 문제만 해결되면 물가 상승의 대부분이 상..

카테고리 없음 2021.06.12

06/10/21

오늘 금리가 많이 떨어졌습니다. 장중 10년물 미국 국채금리는 1.49% 수준까지 떨어졌습니다. 20년물은 2.09%까지 하락 인플레 공포가 점점 잠잠해지고 있다는 반증이고 바이든 정부가 통과시킬려는 대규모 부양책의 규모가 의회를 통해 많이 줄어들거라고 시장이 예상하는 것 같습니다. 현재 인플라 딜을 두고 초당적인 연합이 구성되었지만 그 규모와 집행방식이 바이든 정부의 구미를 당기지 못하고 있습니다. 1주일내로 초당적 합의가 나오지 않으면 다수당인 민주당이 미는 법안이 통과되리라 봅니다. 2. 내일 5월 CPI (consumer price index)가 발표되는데요 시장에서는 전년대비 4.7% 인상할 것으로 봅니다. 식료품과 연료비를 제외하는 근원 물가 상승은 3.5%로 보는데 이는 지난 28년간 제일 ..

카테고리 없음 2021.06.10

06/08/21

오늘은 나스닥이 장 막판에 힘을 얻었습니다. sp500도 전고점 가까이에서 머물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걱정과 테이퍼링 (돈줄 줄이기)에 대한 두려움에도 시장이 폭락하지 않는 이유는 두가지입니다. ㄱ. 공급체인 문제가 해결되면 인플레이션이 잠잠해질 것이다. 그럼 연준의 비둘기적 기조가 유지될 것이다. (금리 인상 압박이 줄어듬) ㄴ. 기업들의 실적이 잘 나오고 있음. 통화정책이 타이트하게 바뀌더라도 기업들의 성장이 이를 상쇄할 거라는 기대감. 누누히 말씀드리지만 올해 SP500 회사들의 어닝은 185불까지도 나올 수 있습니다. 올해 지수가 4400까지 간다면 PE는 23.8로 (유동성 시대에) 꽤 괜찮은 수치입니다. 물가상승의 속도보다 기업들의 성장 속도가 더 높게 나오면 증시는 꾸준히 상승할 수 있습니..

카테고리 없음 2021.06.08

포트폴리오 업데이트 06/07/21

QQQ 16.5 AAPL 12 MSFT 8.5 AMZN 4.5 FB 1.5 GOOGL 3.5 NVDA 3.5 테슬라 2 ——————— 나스닥+빅테크 52% SQQQ 나스닥 3배 인버스 1.3% 기술주: 인버스 비율 대략 13:1 (3배 인버스 감안) ​ ​ VOO 28. (RSP 포함) XLF 4 VOOV 3 XLE OIH 4.6 ——————— 가치주 리플레이션 섹터 39.6% ​ Bitcoin Ethereum 1.8% ——————— 위의 비율은 현금을 제외한 겁니다. 가용 현금 비중은 포트 대비 25 - 30% 입니다. ———————- FB는 목표가 달성 후에 일부 정리했습니다. 하지만 다음 조정에 제일 먼저 담을 종목입니다. NVDA는 좀 더 오르면 팔 생각입니다. QQQ는 장기보유 주식을 야금야금 ..

카테고리 없음 2021.06.07

오늘 일자리 증가 수치로 시장의 취향저격

오늘 3대장이 모두 올랐습니다. 지난 5월에 비농업 일자리수가 55만9천 증가했고 이는 노동 시장의 회복세를 보여줬습니다. 하지만 시장이 예상한 67만명은 하회했습니다. 일자리 수가 너무 증가하면 연준이 일찍 움직일테고 너무 적으면 전반적인 경기 정상화가 걱정될 텐데 오늘 수치는 그리 뜨겁지도 차갑지도 않는 시장이 딱 좋아할 만큼 나왔습니다 일각에서는 너무 뜨겁지도 차지도 않는 골디락 존에 있다고 반응했습니다. 오늘 소폭한 미 국채 금리가 이를 보여줍니다. 오늘 sp지수는 0.9%만 올랐는데 정말 4200-4250선에 익절 볼륨이 넘치는 게 확실합니다. 저는 오늘 QQQ를 2% 매도하고 매도금의 1/4을 SQQQ 매입 1/4는 OIH를 매입했습니다. SP지수는 4300이 분기점이라고 봅니다. 지수의 다음..

카테고리 없음 2021.06.05

06/03/21 베이지북 발표. 금리시장은 안정

CNBC에 따르면 이날 연방준비제도(FED, 연준)의 단기경기진단보고서인 베이지북 발표 내용이 주목받았으나 실망스런 내용도 부각됐다. 베이지북 내용을 보면 음식료, 병원 및 리테일 등에서는 강한 회복이 이뤄지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회사들이 새로운 고용을 늘리는 데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임금 상승은 완만한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건설 및 제조업 부문에서는 급격한 원재료 가격 상승 압력도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부 제조업과 사업부문에서는 비용증가 우려가 부각됐다. 이런 가운데 미국 주요 국채금리가 이날 일제히 하락했다. (초이스경제) 베이지북이 발표되고 제가 맨 먼저 확인한게 국채금리 였습니다 10년물 금리는 오히려 소폭 하락하며 큰 동요는 앖었습니다. 베이지북의 ..

카테고리 없음 2021.06.03